상한 심령이란 무엇일까요 ?
상한 심령의 대표적 인물인 베드로를 살펴봅니다.
예수님의 수제자인 베드로가 예수님을 세번 부인하는 사건을 모두 아실 겁니다. 마태복음 26장31~35절을 보면, 때에 예수께서 제자들에게 이르시되 오늘 밤에 너희가 다 나를 버리리라. 기록된 바 내가 목자를 치리니 양의 떼가 흩어지리라 하였느니라. 그러나 내가 살아난 후에 너희보다 먼저 갈릴리로 가리라. 베드로가 대답하여 가로되 다 주를 버릴지라도 나는 언제든지 버리지 않겠나이다. 예수께서 가라사대 내가 진실로 네게 이르노니 오늘 밤 닭 울기 전에 네가 세번 나를 부인하리라. 베드로가 가로되 내가 주와 함께 죽을지언정 주를 부인하지 않겠나이다. 하고 모든 제자도 이와 같이 말하니라.
하지만 모든 복음서에 나와있듯이 베드로는 닭 울기 전에 세번 예수님을 부인합니다. 그리고 닭이 울자 예수님의 말씀이 생각나 눈물로 뉘우칩니다. 마태복음 26장69~75절에 있는 말씀을 보겠습니다.
베드로가 바깥 뜰에 앉았더니 한 여종이 나아와 이르되 너도 갈릴리 사람 예수와 함께 있었도다 하거늘 베드로가 모든 사람 앞에서 부인하여 이르되 나는 네가 무슨 말을 하는지 알지 못하겠노라 하며 앞문까지 나아가니 다른 여종이 그를 보고 거기 있는 사람들에게 말하되 이 사람은 나사렛 예수와 함께 있었도다 하매 베드로가 맹세하고 또 부인하여 이르되 나는 그 사람을 알지 못하노라 하더라. 조금 후에 곁에 섰던 사람들이 나아와 베드로에게 이르되 너도 진실로 그 도당이라 네 말소리가 너를 표명한다 하거늘 그가 저주하며 맹세하여 이르되 나는 그 사람을 알지 못하노라 하니 곧 닭이 울더라. 이에 베드로가 예수의 말씀에 닭 울기 전에 네가 세번 나를 부인하리라. 하심이 생간나서 밖에 나가서 심히 통곡하니라. |
나를 사랑하느냐? 고 세번 물으시는 주님의 물음은 세번 부인하는 답을 한 베드로의 사건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시사해 주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어쨌든 예수께서는 베드로를 지명하셨고, 상한 심령의 베드로는 근심하며 주를 따릅니다.
상한 심령을 논할 때, 사도 바울을 빼놓을 수 없습니다.
성경상에서 사울은 스데반의 순교장면에서 처음 등장합니다. 사도행전 7장38절에 보면 성밖으로 내치고 돌로 칠새 증인들이 옷을 벗어 사울이라고 하는 청년의 발앞에 두니라. 라고 써있습니다. 그리고 8장1절에 보면 사울이 그의 죽임 당함을 마땅히 여기더라. 라고 써있습니다. 유대 관습에서 겉옷은 그사람의 권위를 상징하는 것입니다. 요나단이 다윗에게 겉옷을 준 일, 엘리야가 승천하면서 엘리사에게 겉옷을 준 일 등을 아실 것입니다. 스데반을 돌로 치려는 사람들이 겉옷을 사울의 발앞에 둔 것은 자신들의 권위와 결정을 사울에게 맡기는 것이고, 재가를 바라는 것일 수 있습니다. 어쨌든 사울은 스데반의 죽음에 구경꾼이나 방관자는 아니었습니다. 사도행전 8장과 9장에 보면 사울이 교회를 핍박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8장3절에는 사울이 교회를 진멸할새 각 집에 들어가 남녀를 끌어다가 옥에 넘기니라. 라고 써있습니다. 또 9장1절과 2절에는 사울이 주의 제자들을 대하여 여전히 위협과 살기가 등등하여 대제사장에게 가서 다메섹 여러 회당에 갈 공문을 청하니 이는 만일 그 도를 좇즌 사람을 만나면 무론 남녀하고 결박하여 예루살렘으로 잡아오려 함이라. 라고 써있습니다.
이러던 사울이 다메섹으로 가는 길에서 예수님을 만나 회심합니다. 교회의 지도자들이 사울을 어떻게 대했을지는 충분히 상상할 수 있습니다. 사울은 바울이 되어, 주의 일을 하면서 항상 부르짓었습니다. 딤전 1장15절에 보면 죄인 중에 내가 괴수니라 라고 고백합니다. 또 로마서 7장24절에서는 오호라 나는 곤고한 사람이로다 이 사망의 몸에서 누가 나를 건져내랴. 라고 말하고, 사도행전 20장31절에서는 내가 삼년이나 밤낮 쉬지 않고 눈물로 각사람을 훈계하던 것을 기억하라. 라고 써있습니다.
항상 상한 심령으로 자신의 나약함을 극복해 나간 바울의 눈물. 그것이 결국 바울로 하여금 로마로 향할 수 있었던 힘과 용기가 되었을 것입니다.
이 상한 심령에 대해 가장 자세히 설명한 성경은 시편51편16~19절인 것 같습니다. 주는 제사를 즐겨 아니하시나니 그렇지 않으면 내가 드렸을 것이라. 주는 번제를 기뻐 아니하시나이다. 하나님의 구하시는 제사는 상한 심령이라. 하나님이여 상하고 통회하는 마음을 주께서 멸시치 아니하시리이다. 주의 은택으로 시온에 선을 행하시고 예루살렘 성을 쌓으소서 그 때에 주께서 의로운 제사와 번제와 온전한 번제를 기뻐하시리니 저희가 수소로 주의 단에 드리리이다.
아시겠지만 이 시편은 다윗이 밧세바를 범한 후, 나단 선지자의 지적을 듣고, 눈물로 통회한 후에 쓴 기도문입니다. 시편 여러 곳에 나오는 다윗의 이 상하고 통회하는 심령은 다윗으로 하여금 다시는 이런 류의 죄를 저지르지 않게 해줍니다.
이 상한 심령이 바로 우리의 힘이 되어야 합니다. I'm okay ! I'm doing well ! 과 같이 방심하고 있을 때 우리는 오히려 힘을 잃습니다. 삶의 업그레이드, 아니 역전을 원하시는 여러분 ! 힘을 얻으셔야 합니다. 세상을 이길 힘은 바로 상한 심령에서 나올 수 있습니다.
상한 심령이 되기 위해 죄를 지을 수는 없지만, 여러분이 상한 존재라는 것을 깨달을 수 있는 은혜가 주님으로부터 주어지길 간절히 소원합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